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페이지하단 바로가기

중고장터

한국 의약품 수출액이 올해 100억달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조회 6회 작성일 25-05-04 19:39

본문

한국 의약품 수출액이 올해 100억달러(약 14조원)를 돌파할 전망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등을 중심으로 한 제약·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가 꾸준한 수출 증대로 이어진 결과다.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1~4월 국내 의약품 수출액은 36억1500만달러를 나타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7.7% 늘어났다. 이 같은 증가세라면 올해 수출은 의약품이 단일 품목으로 분류된 이후 처음으로 100억달러를 넘어설 가능성이 높다.특히 바이오의약품(바이오시밀러)의 유럽 수출이 크게 늘어 전체 의약품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대체 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바이오의약품 수출액은 지난달 잠정 6억1208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4.5% 급증했다. 대(對)독일 수출이 1억7537만달러로 89.7% 크게 뛰었고, 대이탈리아 수출도 2917만달러로 77.0% 늘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SK바이오팜, GC녹십자, 유한양행, 대웅제약, 동화약품 등이 수출 증가를 주도했다.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은 지난해 총 15건 8조원 규모의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고, 올해 들어서도 4개월 만에 5건 7조원대 기술수출 실적을 올렸다. 이들 기업을 미국 빅테크를 일컫는 ‘매그니피센트 7’에 빗대 ‘K-M(medicine·메디신)7’으로 부르는 조어도 증권가에 등장했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 집계에 따르면 한국 의약품 수출액은 2024년 92억6700만달러로 역대 최대였다. 올해 100억달러를 달성하면 2016년 정부 지정 ‘5대 유망 소비재’(농수산식품, 화장품, 패션·의류, 생활·유아용품, 의약품) 가운데 농수산식품(2021년)과 화장품(2024년)에 이어 세 번째 기록을 쓴다. 의약품업계 관계자는 “국내 의약품 제조사들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가 수출 지역 다변화로 이어지며 전체 수출 물량을 끌어올리고 있다”며 “지난해 하반기부터 글로벌 경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나타난 실적 호조로 더욱 주목된다”고 말했다.제2 삼양식품 찾아라…K온수기·변압기·보톡스 수출 '훨훨'1일 통계 확인 후 주가 치솟아…소지난 3월 영남권을 덮친 산불은 사상 최악의 피해를 낳았다. 산불 면적은10만4000㏊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고 75명이 죽거나 다쳤다. 기후변화로 산불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이로 인한 문화유산 피해도 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3월26일 화마가 덮친 경북 의성군 고운사에 범종이 불타 내려 앉은 누각 잿더미 위에 덩그러니 놓여 있다. 뉴스1 3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가지정·등록 문화유산 중 화재로 피해를 입은 사례는 4건이었다. 직전2023년 8건에 비하면 다소 줄었지만 최근 경향성을 놓고 보면 화재로 인한 피해 건수는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10년 전인 2015년 화재로 인한 문화유산 피해 건수는 2건이었다. 이후 2016∼2020년 사이엔 2017년(2건)을 제외하곤 피해 건수가각각 1건에 불과했다.2021년부턴화재 피해 건수가 6건으로 크게 늘었고 2022년 6건, 2023년 8건 등을 기록했다. 피해 사례를 집계한 2008년부터 2024년까지의국가유산화재 피해 건수는 총 56건이었다. 2008~2024년 화재 등으로 인한 문화유산 피해 집계 건수.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이 올해 1월 공개한‘국가유산 재난발생 통계 및 사례 편람’을 보면 2008년∼2023년 사이 가장 많은 화재 피해를 본 문화유산은 국가민속문화유산(21건)이었다. 그외 사적(13건), 보물(6건), 국가등록문화유산(4건), 명승(4건), 국보(3건) 등의 순으로 피해가 집계됐다. 문화유산 유형별로는 목조의 피해가 30건으로 가장 많았다. 석조(10건)와 자연유산(5건), 능·분·묘도 각각 3건 등도 피해를 입었다. 2008~2023년 지역별 문화유산 화재피해 건수. 국가유산청 제공 같은 문화유산이 여러차례 화재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특히 경북